본문 바로가기
글_모음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언약들 비교

by 샬롬보금자리 2025. 1. 1.

1. 창세기 12장~22장에 다섯번에 걸친 하나님의 언약

아브라함 언약은 성경에서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구속 언약의 중심입니다. 아브라함에게는 여러 번에 걸쳐 하나님이 언약을 주셨는데, 그 내용이 점차 발전하며 구체화되는 것을 알수 있다. 

(1) 창세기 12:1-3 – 첫 언약의 약속 (하란에서)

  • 내용:
    1. 큰 민족을 이루게 하겠다.
    2. 이름을 창대하게 하겠다.
    3. 복의 근원이 되게 하겠다.
    4. 땅의 모든 족속이 너를 통해 복을 받게 하겠다.
  • 특징:
    • 언약의 초석으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가나안 땅으로 가라는 명령과 함께 주어졌습니다.
    • 조건 없는 약속(무조건적 은혜)으로, 아브라함의 믿음과 순종이 전제되었습니다.
    • 구속사의 시작
  • 구속사적 연결:
    • 이 언약은 하나님께서 한 사람(아브라함)을 통해 인류의 구원을 계획하셨음을 나타냅니다.
    • "땅의 모든 족속이 복을 받을 것"이라는 약속은 메시아를 통해 성취됩니다(갈 3:8-9).
      • 신약 성취: 갈라디아서 3:16에서 바울은 "네 씨"가 바로 그리스도를 가리킨다고 해석하며, 구속사의 중심으로 연결합니다.

(2) 창세기 13:14-17 – 땅의 약속 (롯과 분리 후 헤브론에서)

  • 내용:
    1. 네가 보고 있는 땅을 모두 너와 네 자손에게 영원히 주겠다.
    2. 네 자손을 땅의 티끌같이 많게 하겠다.
  • 특징:
    • 아브라함이 롯과 분리된 후 주어진 언약으로, 가나안 땅의 영속적인 소유를 약속합니다.
    • 하나님의 언약이 구체적으로 "땅"과 "자손"의 약속으로 확대됩니다.(하나님 나라 예표)
    • 땅의 약속은 단순한 지리적 의미를 넘어 하나님 나라의 예표로 이해됩니다.
      • 가나안 땅은 구약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안식하며 거할 약속의 땅이자, 하나님 나라의 모델로 작용합니다.
      • 이는 신약에서 새 하늘과 새 땅의 완성을 통해 궁극적으로 성취됩니다(히 11:10; 계 21:1).
    • 자손의 약속은 그리스도와 그의 몸 된 교회의 번영으로 이어집니다.

(3) 창세기 15:1-21 – 언약의 확증 (하늘의 별처럼 많은 자손 약속)

  • 내용:
    1. 네 상속자는 네 몸에서 날 것이다.
    2. 네 자손이 하늘의 별과 같이 많아질 것이다.
    3. 네 자손이 이방에서 고난을 당하지만, 큰 재물을 가지고 돌아올 것이다(400년 예언).
    4. 가나안 땅(애굽 강에서 유브라데까지)을 네 자손에게 주겠다.
  • 특징:
    • 언약 의식: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언약을 체결하기 위해 동물들을 쪼개는 의식을 행하셨습니다. 하나님만이 쪼갠 동물 사이를 지나가셨는데, 이는 하나님의 일방적인 약속(조건 없음)을 나타냅니다.
    • 아브라함의 믿음을 의로 여기신 사건(창 15:6)이 이 언약의 중심입니다.
    • 쪼갠 동물 사이를 지나가는 의식은 하나님의 일방적인 구원의 약속을 상징합니다.
      • 이는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하나님의 약속을 성취하신 것을 예표합니다.
    • 자손이 이방 땅에서 고난을 당하는 것은 이스라엘의 출애굽 사건을 통해 성취되며, 이는 구속사의 중요한 사건으로 신약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예표합니다(눅 9:31).

(4) 창세기 17:1-22 – 언약의 재확인과 할례 명령 (99세 시점)

  • 내용:
    1. 아브라함(이전 이름 아브람)과 사라(사래)의 이름 변경.
    2. 네 후손이 왕들이 될 것이다.
    3. 영원히 지속될 언약을 너와 네 자손과 세우겠다.
    4. 가나안 땅을 너와 네 자손의 영원한 소유로 주겠다.
    5. 할례를 언약의 표징으로 요구하셨다.
  • 특징:
    • 언약과 언약 공동체의 표징으로 할례를 요구하며,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이 하나님과의 언약에 신실하게 참여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 언약의 범위가 확대되어 사라를 통해 자손이 태어날 것을 명시합니다.
    • 구속사적으로 볼때..
    • 할례는 신약에서 성령으로 말미암은 마음의 할례로 성취됩니다(롬 2:29).
      • 이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구별되는 표징이 육체적 할례에서 영적인 내적 변화로 발전했음을 보여줍니다.
    • "왕들이 네 후손에게서 나올 것이다"는 다윗 언약(삼하 7:12-16)과 그리스도의 왕권으로 연결됩니다(눅 1:32-33).

렘브란트, '아브라함의 제사', 1635년, Oil on canvas, 193 x 132 cm(왼쪽), 1636년. Oil on canvas, 195 x 132 cm(오른쪽). 출처 :  가스펠투데이(http://www.gospeltoday.co.kr)

(5) 창세기 22:16-19 – 맹세로 확증된 언약

  • 내용:
    1. 하나님이 자기 이름으로 맹세하며 약속하심.
    2. 네 자손이 대적의 성문을 차지할 것이다.
    3. 네 자손을 통해 땅의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것이다.
  • 특징:
    • 하나님의 맹세: 이전의 언약들과 달리, 하나님께서 자신의 이름을 걸고 맹세하셨습니다. 이는 절대적이고 변하지 않는 약속을 강조합니다.
    • 조건: 아브라함의 순종과 이삭 번제의 헌신적 행위(믿음의 시험 통과)를 인정하시고 언약을 확증하셨습니다.
    • 언약의 확장: "네 씨를 통해 모든 민족이 복을 받게 될 것"이라는 표현은 메시아를 통한 구속의 약속으로 확장됩니다(갈 3:16).
    • 구속사적으로 볼때..
    •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하려는 순종은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을 예표합니다(히 11:17-19).
    • "네 씨를 통해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것"이라는 약속은 그리스도의 복음이 열방에 전파되어 성취됩니다(마 28:19-20).
    • 하나님이 자기 이름으로 맹세하신 것은 그 약속의 불변성과 확실성을 보여주며, 이는 구속사가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에 근거함을 드러냅니다.

2. 이전 언약과 창세기 22장의 차이점

  1. 맹세의 강조
    • 이전 언약들은 하나님께서 일방적으로 약속하셨으나, 창 22장에서는 맹세라는 형식을 통해 언약을 절대적으로 확증하셨습니다.
    • 이는 아브라함이 이삭 번제를 통해 극도의 순종을 보였기 때문에 이루어진 결과로 보입니다.
  2. 조건과 성취
    • 창세기 22장은 아브라함의 믿음과 순종(행동)을 기반으로 하나님께서 언약을 확증하셨다는 점에서 이전의 일방적인 약속들과 구별됩니다.
  3. 메시아적 전망
    • "네 씨를 통해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것"이라는 약속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사적 전망을 보여줍니다(갈 3:16).

3. 22장 언약의 신학적 의미

  • 맹세의 중요성: 히브리서 6:13-18은 하나님께서 맹세로 아브라함과의 약속을 확증하신 것을 언급하며, 이는 하나님의 약속이 절대적임을 보여주는 근거로 사용됩니다.
  • 언약의 발전: 창세기 22장은 하나님의 구속 언약이 인간의 순종과 관계 속에서 더욱 구체화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4. 구속사의 큰 그림에서 아브라함 언약의 역할

  1. 하나님의 백성 (자손)
    • 아브라함 언약에서 약속된 자손은 육적 자손인 이스라엘로 성취되었고, 궁극적으로 그리스도를 통해 영적 자손인 교회로 확대됩니다(갈 3:29).
  2. 하나님의 땅 (가나안)
    • 약속된 땅은 구약에서 이스라엘이 정착한 가나안으로 성취되었지만, 신약에서는 하나님 나라와 새 하늘과 새 땅으로 확장됩니다(히 11:10; 계 21:1).
  3. 하나님의 왕국 (복의 근원)
    • 아브라함 언약은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전 세계로 확장될 것을 보여줍니다. "복의 근원"은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을 의미하며, 이는 열방이 구원에 참여하는 복음의 성취로 이어집니다(행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