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_모음

하나님의 칭의론 #1

by 샬롬보금자리 2019. 5. 14.

알리스터 맥그라스의 책, 하나님의 칭의론 - 이 책은 "칭의"에 대한 교리의 역사를 추적해서 실제 구약 히브리어의 "의"와 70인경과 신약 헬라어의 "의", 그리고 라틴어와 다시 서구유럽의 언어로 번역된 "의"를 각 시대별로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저자 서문은 이 책을 쓴 목적과 그 유용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담고 있어서 간략하게 내용을 파악하기에 유익이 됩니다. 

저자서문

 

칭의교리의 역사를 탐구하는 세가지 이유

첫째, 특정 교리의 발전을 기원에서 현재까지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일은 그 자체로 중요하다. 

칭의교리의 발전은 신학자들이 자신의 시대의문화적 상황에 응답함으로 신학적인 개념과 세속적인 개념이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교리발전에 있어 이데올로기적인 상호교류 연구를 위한 하나의 패러다임이다.

 

// 맥그라스는 '교리 역사'를 '절대 진리를 알아감'만으로 여기지 않음. - 이는 그 흐름에 있어서 성서에 대한 영감설과 문서설 논의와도 비슷하다. 따라서 교리 역사를 절대적으로 신뢰하는 태도에 대해 다시한번 정말 그러한가 하는 자세를 가져주는 유익과 함께 단지 교리를 그 시대적인 경향의 반영만으로 축소해버리는 우를 범하지 않을까 염려가 된다. 

 

둘째, 이 연구는 조직신학과도 관계가 있다.

현재의 신학상황은 적어도 기독교의 화해(reconciliation) 교리에 대한 재진술(restatement), 또는 가능하다면 복원(reinstatement) 필요성의 여지가 있다. 이런 시도에 있어서 역사적 기원과 이에 따른 개념 발전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일은 필수조건이다.  칭의는 성경과 기독교 전통 안에서,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과 세상의 화해를 설명하고자 사용되어 온 개념들 중의 하나이다. 이는 16세기(종교개혁)에서 드러난것처럼 중요하다. 동시에 구원의 근거 또는 크리스천의 삶의 형성이라는 신학적 고려에 있어서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 이 말은 조직신학에서 다루는 교리가 기독교 교파간의 갈등의 원인이기도 했던 만큼 그 화해의 가능성이 "칭의"에 대한 역사를 탐구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는 말이다. 진짜로 "칭의"가 무엇일까? 왜 "칭의"를 이렇게 정의했을까를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보다 폭 넓은 이해를 갖게 할 것이다. 

// 히브리 어원과 다르게 번역된 단어들이 잃어버린 의미들에서 지나치게 발전된 부분에 대한 반성과 재 정의

// 보다 오래되고 인정받아 온 교리에 대한 최근의 왜곡 - 칭의에 대한 것?

 

세번째, 기독교의 여러 전통들 사이의 대화 자료로 기능할 것이다.

여기서 여러 전통들 사이란 특히 16세기 종교개혁으로 파생된 현재의 청체성이 형성된 전통들 사이를 말한다. 에큐메니칼 대화에 있어서 16세기 논쟁에서 분화된 근거인 이 교리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

 

 

이 책의 목적

본연구는 교회의 정체성과 임무라는 교회의 자기이해에 있어, 칭의 개념의 계속적인 역할에 대한 신학적 성찰의 촉진과 홍보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거의 결론!! 칭의 개념의 계속적인 역할에 대한 신학적 성찰의 촉진의 밑거름이 되고 싶다.

 

- 이 책은 “칭의”개념을 정의하려는 시도가 아니라, 서구의 신학전통이 이해해 온 다양한 방법에 대한 설명의 제공이 이책의 목적이다. 

- 이 책은 지난 2천년의 신학적 반성을 통해 이 개념이 어떻게 인식되어 왔는지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단일한 개념 수립이 실패해왔다. “는 것이 중요하다. 

- 이 책에 제공된 증거들은 다양한 이해들이 기독교 신학이 진행됨에 따라 때로는 의문시되고, 비판되며, 대체되다가 때로는 다시 살아나는 어떤 내재적인 의미론적이며 형이상학적인, 그리고 법률적인 전제들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려준다.